서버 2

[server] 라즈베리파이로 나만의 서버 구축 (1)

일단 시작하면 끝을 봐야하지 않겠나 작년 6월. 뭣도 모르고 웹 프론트엔드에 처음 도전장을 내밀었을때가 생각난다.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현재 내가 개발한 서비스를 github 를 사용하여 정적으로 배포하고 cors 에러도 제대로 해결을 못했던 때였다. 네트워크쪽 지식이 너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급한 우선순위는 아니었기에 대충 로컬에서만 해결하고 넘어갔었다. 제대로 해결도 못하고 얼렁뚱땅 넘어간게 아쉬웠다. 개발을 계속 하면서 네트워크 지식은 필수였고 이제부터라도 제대로 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제대로 공부하려면 프로젝트를 하나 잡고 몸통 박치기로 직접 도전해보는게 베스트다. 그래서 나만의 서버를 만들어보는걸 목표로 토이 프로젝트를 시작하려고 한다. 이때껏 서버리스(Serverless)..

개발/network 2025.02.26

[AWS] 중간 서버 세팅하기

일단 굴린 후에 생각한다. 저번에 테스트 환경과 프로덕션 환경을 분리하면서 한가지 걸림돌이 있었는데 바로 앱 심사 과정이었다. 앱 심사시의 백엔드 환경이 테스트 환경이 되어야 된다는 것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유저들은 prod 사용 / 앱 심사시에는 변경 사항이 있는 test 사용. 이런식으로 되어야 환경 분리가 완벽히 된다. supabase_url과 supabase_api_key를 각각 환경에 맞게 가져와야 했고 물론 환경 변수 파일에 따로 저장해서 버전에 따라 다르게 가져올수도 있었지만 좀더 확실한 관리를 위해 중간 서버를 세팅하기로 하였다.  1. AWS 선택내가 고안한 방식은 api 호출을 통해 key를 가져올때 현재 클라이언트의 버전을 확인하고 만약 출시가 안된 버전이라면 (심사시에만 적용) ..

개발/aws 2024.12.14